펄펄 끓는 부동산 시장...금리 인상으로 달래질까 / YTN

  • 3년 전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배경 가운데 하나는 역시 부동산 문제입니다.

이번 주에도 시장이 아주 뜨거웠는데요,

기준금리 인상이 집값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?

조태현 기자가 전망해 봤습니다.

[기자]
집값이 이미 고점에 올랐고,

공급도 차질없이 진행될 거란 정부의 거듭된 설명에도,

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(어제) : 금년 주택·아파트 입주물량이 상대적으로 하반기에 집중되어 있어 상반기 중 입주 체감도가 다소 낮은 측면이 있었으나 하반기 들어 대단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월별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나는 모습입니다.]

시장은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

수도권 아파트값은 한 주 만에 또 0.4% 급등해,

역대 최고 오름폭 기록을 6주 연속으로 늘렸습니다.

올해 누적 상승률을 무려 11%가 넘습니다.

서울 상승세가 소폭 확대된 가운데,

경기도와 인천은 한 주 만에 각각 0.5%, 0.41%나 올라, 폭등 분위기를 이어갔습니다.
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배경 가운데 하나로,

부동산 문제가 꼽히는 배경입니다.

기준금리 인상이 강력한 대출 억제와 맞물리면서,

시장 안정에 어느 정도는 효과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

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 랩장 :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하거나 자산을 투자하는 것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데요, 과거보다 투자 수요가 줄어 거래량이 감소하고 상승 속도가 크게 둔화할 수 있습니다.]

다만 여전히 기준금리는 낮은 수준인 데다가,

코로나19 재확산 등을 고려하면, 단기간에 기준금리를 여러 차례 올릴 여력도 많지 않아

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.

[김규정 /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 소장 : 여전히 주택 시장에선 전세 수급 불안과 대선 이후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택 구매와 투자를 원하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,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.]

집값을 잡기 위해선 기준금리와 대출 관리 등에 더해,

공급에 대한 확신을 시장에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

YTN 조태현입니다.

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
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8261452239355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
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추천